전시
박물관 도록
![]() |
||
정보 | 1987. 06. 30 발행, A4, 192쪽 | |
내용 |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 중 고고, 역사, 민속유물 430점을 엄선하여 소개한 도록이다. | |
‘91 명품전 도록
![]() |
||
정보 | 1991. 10. 01 발행, 4×6배판, 46쪽 | |
내용 |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의 개관 10주년을 기념하여 발행한 도록이다. 박물관 소장유물 중 공개할 기회가 없었던 유물를 선별하여 전시하고, 전시물을 책자로 발행하였다.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총 159점을 엄선하여 소개한 도록이다. | |
금산 장대리 고분군
![]() |
||
정보 | 한남대학교박물관 유적조사보고 제1책, 저자 : 최병현ㆍ김근완ㆍ임수진, 1992. 12. 14 발행, 4×6배판, 218쪽 | |
내용 |
삼국시대 석곽묘 28기와 청동기시대 석곽묘 1기 및 채집 유물에 대해 기술한 보고서이다. 삼국시대 석곽묘 28기는 6세기 중엽 금산지역으로 진출한 신라인의 고분임이 밝혀졌으며, 이와 관련된 유적과 유물의 실측도, 사진, 설명 등이 게재되어 있다.
|
|
백제토기요지특별전
![]() |
||
정보 | 1993. 08. 05 발행, 4×6배판, 56쪽 | |
내용 | 대전 EXPO ’93을 맞아 특별전을 개최하고 그와 관련된 진천 산수리ㆍ삼용리 백제토기 가마터 유물과 유적을 담아 발간한 도록이다. | |
대전 구성동 유적
![]() |
||
정보 | 한남대학교박물관 유적조사보고 제2책, 저자 : 최병현ㆍ류기정, 1996. 09. 20 발행, 4×6배판, 382쪽 | |
내용 | 대전 구성동의 대전지방기상청 신축부지에 대한 발굴조사의 결과보고서이다. 청동기시대 주거지 10기, 원삼국시대 주거지 29기, 백제시대의 토광묘 11기, 옹관묘 4기, 저장공 2기 그리고 조선시대 주거지 8기와 석곽묘 1기가 조사되었다. 이와 관련된 유적과 유물의 실측도, 사진, 설명 등이 자세하게 게재되어 있다. | |
고고와 민속 창간호
![]() |
||
정보 | 1998. 02. 28 발행, 4×6배판, 291쪽 | |
내용 |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학술연구지인‘고고와 민속’창간호이다. 고고, 역사, 민속의 논문들과 박물관의 활동 등을 담아내고 있다.
심우성, ‘띠 탈놀이’ |
|
대전 오정동유적
![]() |
||
정보 | 한남대학교박물관 학술총서 제3책, 저자 : 최병현ㆍ류기정, 1998. 09 발행, 4×6배판, 191쪽 | |
내용 | 대전광역시 대덕구 오정동의 삼익아파트 건설부지에 대한 발굴조사의 결과물이다. 원삼국시대 주거지 5기, 백제 시대 토광묘 2기, 조선시대 주거지 7기, 건물지 3기, 수혈유구 2기가 조사되었다. 유적이 위치한 능선일대에는 이전부터 선ㆍ역사시대의 유적들이 알려져 있었는데 이를 최초로 확인한 유적으로 그 의의가 있다. | |
고고와 민속 제2집
![]() |
||
정보 | 1999. 02. 28 발행, 4×6배판, 288쪽 | |
목차 | 최삼용, ‘레바르 유적의 뼈연모 연구’ 조태섭, ‘동물뼈화석 변형의 기원과 역사(Ⅰ)’ 공수진, ‘빠또 유적을 중심으로 살펴본 프랑스 남서부지방의 후기구석기문화의 전개’ 강형태ㆍ정광용, ‘고려시대 건물지 출토 청자의 산지 연구’ 심우성, ‘扶餘 山有花歌’ 황의호, ‘보령 지방 마을 신앙의 실태’ 아요다인 오치르 씀, 이평래 옮김, ‘몽골 샤마니즘의 텡게리와 서사시 주인공의 관계에 대하여’ |
|
고고와 민속 제3집
![]() |
||
정보 | 2000. 02. 28 발행, 4×6배판, 306쪽 | |
목차 | 홍미영, ‘봄본 유적의 주먹도끼 연구’ 황의호, ‘가라티 마을의 동제’ 김근완, ‘대전 탄방동 남선근린공원내 선사유적 시굴조사 개보’ 이필영ㆍ김효경, ‘보은 마로-임한 민속지표조사’ 박환영, ‘히말라야의 평화스러운 나라 : 부탄’ 권영원ㆍ민정희, ‘공명척점과 이본대성북두연명경’ |
|
고고와 민속 제4집
![]() |
||
정보 | 2001. 05. 28 발행, 4×6배판, 275쪽 | |
목차 | 한창균, ‘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용어 고찰’ 구자진, ‘대전 유성구 교촌지구의 문화유적 조사 연구’ 김효경, ‘충남 서천의 마량리 당제’ 이인화, ‘기지시 줄다리기의 재조명’ 송현강, ‘대전ㆍ충남의 그리스도교 전래’ 권영원ㆍ민정희, ‘한남대 박물관 소장 婚禮관련 고문서 해제’ |
|
故 이창규 목사 기증 기독교사 자료 특별전 도록
![]() |
||
정보 | 박물관 도록 4호, 2001. 10 발행, A4판, 57쪽 | |
내용 | 제44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을 지낸 故 이창규 목사가 소장하고 있던 자료들을 본 대학 박물관에서 기증받으면서 발간한 도록이다. 故 이창규 목사의 당시 목회활동 관련 사진과 생애, 자료소개, 자료목록 등이 실려 있다. | |
대전 법동 건물지
![]() |
||
정보 | 한남대학교박물관 학술총서 제11책, 저자 : 최병현ㆍ김근완ㆍ류기정ㆍ허세연ㆍ전일용, 2002. 02. 25 발행, 4×6배판, 217쪽 | |
내용 | 1995년부터 1996년까지 대전 송촌택지개발사업지구 문화유적 조사과정중 확인된 대전 법동 건물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물이다. 건물지 7기, 배수로시설 1기, 우물 1기, 담장시설 2기, 원형 수혈유구 1기 등이 조사되었다. 11세기와 12세기에 비정되는 유구들의 구조와 출토유물이 설명되어 있다. | |
고고와 민속 제5집
![]() |
||
정보 | 2002. 05. 28 발행, 4×6배판, 212쪽 | |
목차 | 이필영ㆍ한창균ㆍ김근완ㆍ구자진, ‘원산도의 선사시대 유적과 유물’ 이평래, ‘몽골인들의 민간신앙 Ⅰ’ 송현강, ‘故 李昌珪 牧師 寄贈 基督敎史 資料 硏究’ 민정희, ‘한남대 박물관 소장 戶口관련 고문서 해제’ |
|
고고와 민속 제6집
![]() |
||
정보 | 2003. 05. 28 발행, 4×6배판, 252쪽 | |
목차 | 김근완ㆍ서대원, ‘대청호 수몰지역의 신발견 유적과 유물’ 김상돈, ‘충북 옥천지역의 민간요법 전승실태와 그 성격’ 송현강, ‘대전 지역의 개신교 전래’ |
|
대전 노은동 유적
![]() |
||
정보 | 한남대학교박물관 학술총서 제15책, 저자 : 한창균ㆍ김근완ㆍ류기정ㆍ허세연ㆍ전일용ㆍ서대원ㆍ구자진, 2003. 07. 15 발행, A4, 605쪽 | |
내용 |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실시한 대전 월드컵경기장 건립지역에 대한 문화유적 발굴조사의 결과물이다. 보고서에는 구석기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유구와 유물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기술되었고, 더불어 각 시대별 성격이 설명되어 있다. | |
옥천 대천리 신석기유적
![]() |
||
정보 | 한남대학교박물관 학술총서 제16책, 저자 : 한창균ㆍ김근완ㆍ구자진, 2003. 10. 31 발행, A4, 208쪽 | |
내용 | 경부고속철도 대전 남연결선 구간에서 확인된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물이다. 보고서에는 집자리의 구조와 출토된 유물의 성명과 성격이 자세히 보고되어 있으며, 아울러 경부고속철도 대전 북ㆍ남연결선 지역에 대한 시굴조사의 결과를 부록으로 게재하였다. | |
문화유적분포지도 -금산군-
![]() |
||
정보 | 한남대학교박물관 학술총서 제17책, 2003. 11. 01 발행, A3, 394쪽 | |
내용 | 금산군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문화유적 682개소를 1/10,000 지형도에 표기한 지도첩이다. 이중에는 기존의 조사를 통하여 알려진 유적 이외에도 새롭게 찾은 많은 매장문화재 유적이 포함되어 있다. 더불어 관련유적의 설명과 사진을 함께 게재하였다. | |
고고와 민속 제7집
![]() |
||
정보 | 2004. 08. 28 발행, 4×6배판, 232쪽 | |
목차 | 김근완ㆍ구자진ㆍ서대원, ‘신진도ㆍ마도ㆍ가의도의 유적과 유물’ 김효경, ‘강과 바다가 어우러진 부여군의 어업생활풍습’ 송현강, ‘대전ㆍ충남 지역의 감리교 전래와 확산’ 민정희, ‘한남대 박물관 소장 敎旨類 고문서 해제’ |
|
문화유적분포지도 -대전광역시-
![]() |
||
정보 | 2004. 10 발행, A3, 506쪽 | |
목차 | 대전광역시에 분포하고 있는 문화유적 933개소를 1/10,000 지형도에 표기한 지도첩이다. 고고, 역사, 민속, 식생분야 등 각 분야별로 지도, 원고, 사진을 게재하여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제작하였다. | |
대전 신대동 유적
![]() |
||
정보 | 한남대학교박물관 학술총서 제21책, 저자 : 한창균ㆍ김근완ㆍ구자진ㆍ변정숙ㆍ서대원, 2004. 10. 31 발행, A4, 170쪽 | |
내용 | 경부고속철도 대전 북연결선 구간에 대한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이다. 원삼국시대 주거지 9기, 토광묘 1기, 옹관묘 1기, 수혈 1기, 고려시대 석곽묘 1기, 근대 토광묘 4기, 그리고 시대미상의 석곽묘와 수혈이 각 1기가 확인되었다. 유구와 유물에 대한 설명, 사진, 도면 등이 상세히 게재되어 있다. | |
공주 상서리 유적
![]() |
||
정보 | 저자 : 한창균ㆍ김근완ㆍ서대원ㆍ김근태, 2004. 12. 15 발행, A4, 73쪽 | |
내용 | 천안-논산 고속도로구간(제11지구) 추가편입지역에 대한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이다. 조사결과, 원삼국시대 토광묘 2기, 옹관묘와 주구묘가 각 1기, 조선시대 회곽묘 1기, 조선시대 이후의 토광묘 5기가 확인되었다. 유구와 유물에 대한 원고, 사진, 도면 등을 게재하였고, 부록으로 조선시대 회곽묘에서 출토한 복식의 보존처리 및 보수처리에 대한 보고서를 추가하였다. | |
일반동산문화재 다량소장처 실태조사 학술용역 보고서 -대전광역시-
![]() |
||
정보 | 2005. 05 발행, A4, 395쪽 | |
내용 | 대전광역시 관내의 원사, 향교, 문중, 개인 등에 소장되어 있는 일반 동산문화재에 대한 소재 및 그 현황을 파악한 보고서이다. 회덕향교, 문충사, 남간사, 백용덕, 성낙응, 송낙중, 송운호, 이현준, 조병호, 채규식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로써, 고문헌 1,306책, 고문서 및 간찰류 1,710점, 현판과 기타 일반유물 85점, 책판 32점 등 총 3,113건에 대한 내용과 소장 실태 등을 게재하였다. | |
고고와 민속 제8집
![]() |
||
정보 | 2005. 09. 27 발행, 4×6배판, 276쪽 | |
목차 | 김근완ㆍ김근태, ‘삽시도ㆍ장고도ㆍ고대도의 유적과 유물’ 이필영, ‘해물리기와 잔밥먹이기’ 김효경ㆍ오선영, ‘원산도(元山島)의 민속(民俗)’ 송현강, ‘충청지역의 그리스도교사 연구 동향’ 한기범, ‘전민동 광산김씨 문중 묘역’ |
|
고고와 민속 제9집
![]() |
||
정보 | 2006. 09. 27 발행, 4×6배판, 229쪽 | |
내용 | 김근완ㆍ도의철, ‘충남 도서지역의 유적과 유물’ 서대원, ‘청주 복대동 유적 시ㆍ발굴조사 개보’ 이필영ㆍ이재은, ‘서천읍 남산(南山)과 그 주변 마을의 민속조사’ 이정신, ‘고려시대 문방사우 연구’ 송현강, ‘금산의 개신교 전래’ |
|
진천 삼룡리ㆍ산수리 토기 요지군
![]() |
||
정보 | 한남대학교 학술총서 24책, 저자 : 최병현ㆍ김근완ㆍ류기정ㆍ김근태, 2006. 12. 30 발행, 2권 본문/내용 515쪽, 사진 255쪽 | |
내용 | 1986년도 중부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문화유적 조사의 일환으로 시작된 진천 삼룡리ㆍ산수리 백제토기 가마터 발굴조사는 1987년도부터 1991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실시된 발굴조사의 결과물이다. 이 5개년 동안 1991년을 제외한 1987년부터 1990년까지 토기요지 20기와 이 요지들과 관련있는 수혈주거지 6기가 발굴 조사되었다. 이러한 토기 요지와 폐토기 퇴적장, 그리고 수혈주거지들에서는 수많은 토기편이 출토되었다. 이 유적은 이 지역의 백제토기 성립 전후의 토기 제작기술과 당시의 토기양상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판단된다. | |
고고와 민속 제10집
![]() |
||
정보 | 2007. 10. 27 발행, 4×6배판, 342쪽 | |
목차 | 양미옥, ‘충청지역의 고려시대 무덤 연구’ 전일용ㆍ윤정현,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의 조사성과’ 김근완ㆍ도의철, ‘충남 서해 도서의 유적과 유물’ 이필영ㆍ김효경ㆍ정래진ㆍ남향,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달전리 민속조사 연구’ 민정희, ‘국역『성상태실가봉석난간조배의궤』’ 송현강, ‘충청도 서해안의 개신교 전래상황’ |
|
고고와 민속 제11집
![]() |
||
정보 | 2008. 10. 31 발행, 4×6배판, 135쪽 | |
목차 | 최병현, ‘永同 池鳳里 古墳群의 調査槪要’ 오재진, ‘충주 하구암리 유적의 조사성과’ 柳本照男, ‘묘제로 본 고분시대 전반기의 한일관계’ 이관호, ‘민속학전 측면에서 본 내포지역의 역사ㆍ문화적 특색’ 송현강, ‘미남장로교의 한국 선교와 한남대학의 설립’ |
|
충북혁신도시 사이버 고향마을 구축을 위한 학술연구용역보고서
![]() |
||
정보 | 2009. 3. 9 발행, A4 252쪽 | |
내용 | 2008년 충북혁신도시 예정지가 결정된 후, 그 지역민들의 이주 이전의 그 역사와 민속, 고건축, 지명, 성씨 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담았다. 그리고 그들이 살고 있는 모습과 생산 활동 그리고 마을 행사와 마을의 이야기들과 더불어 그들의 사계절을 사진과 함께 그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 |
고고와 민속 제12집
![]() |
||
정보 | 2009. 12. 7 발행, 4×6배판, 243쪽 | |
목차 | 구자진, ‘대전지역의 신석기문화’ 오윤숙, ‘연기 갈운리 뒷골 유적 조사개요’ 김근완ㆍ박종진, ‘대청호 접안지역의 유적과 유물(2)’ 김효경, ‘충북 충주시 살미면 세성리 농사일기로 본 농업과 생활상’ 송현강, ‘미국 남장로교 광주 스테이션의 교육 선교’ |
|
고고와 민속 제13집
![]() |
||
정보 | 2010. 9. 30 발행, 4×6배판, 173쪽 | |
목차 | 서대원, ‘대전지역의 구석기시대 유적 비교검토’ 정래진, ‘규암리와 규암나루의 변화(18세기 이후를 중심으로)’ 서흥석, ‘충현서원『심원록(尋院錄)』분석’ 송현강, ‘영남 지역 기독교유적지 연구’ |
|
한남대학교 55주년 기념 특별전 "기와瓦 그리고 전塼 명품선" 도록
![]() |
||
정보 | 2011. 4 발행, A4, 106쪽 | |
내용 | 한남대학교 개교 55주년을 맞아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이 기획한 특별전 『기와瓦 그리고 전塼 명품선』의 전시도록이다. 이 도록은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약 2,000여점의 와전 중에 백제, 고구려, 신라, 통일신라 및 동시대 중국과 일본의 와전 100여점을 선별하여 수록하였다. | |
고고와 민속 제14집
![]() |
||
정보 | 2011. 11. 21 발행, 4×6배판, 171쪽 | |
목차 | 도의철, ‘충주지역 원삼국기 문화의 특징’ 민정희, ‘충남 공주시 의당면 수촌리 민속조사 연구’ 서흥석, ‘안택의 상(床)과 병경(病經)의 단(壇)’ 송현강, ‘대전스테이션 연구’ 윤병화, ‘대전 초등학교 교가 가사 연구’ |
|
고고와 민속 제15집
![]() |
||
정보 | 2012. 11. 21 발행, 4×6배판, 158쪽 | |
목차 | 이상복, ‘미륵사지 출토 사리호를 통해 본 수적형문의 연대’ 도의철, ‘강릉 굴산사지 학술조사 성과 및 출토 기와의 초보적 검토’ 곽스도, ‘전주·완주 혁신도시 개발사업(4구역일부-도시부)부지 내 문화재 발굴조사 개요’ 강성복, ‘부여 외산 구신마을 동제의 전승양상과 특징’ 송현강, ‘대전의 선교사들’ |
|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개관 30주년기념 특별전 "왕의 뜻을 전하다" 도록
![]() |
||
정보 | 2012. 12. 11 발행, A4, 85쪽 | |
내용 |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개관 30주년을 맞아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이 기획한 “왕의 뜻을 전하다” 의 특별전 전시도록이다. 이 도록은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이 소장중인 약 4,000여종의 고문서 중에서 국왕문서 – 대관부문서 – 80여점을 선별하여 수록하였다. | |
한남대학교 개교 56주년 및 중앙박물관 개관 30주년 기념 소장유물도록
![]() |
||
정보 | 2013. 1. 23 발행, 300*260, 429쪽 | |
내용 | 이 책은 한남대학교 개교 56주년과 중앙박물관 개관 30주년 기념으로 발간되었다. 도록에 수록된 유물은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소장유물과 발굴유물 중에서 선정하였다. |
|
고고와 민속 제16집 -대전 용호동 구석기유적 특집-
![]() |
||
정보 | 2013. 11. 29 발행, 4×6배판, 212쪽 | |
목차 | 한창균ㆍ서대원, ‘대전 용호동 구석기유적의 입지 환경, 지층, 문화층’ 곽스도, ‘대전 용호동 구석기유적의 몸돌 연구’ 서대원, ‘대전 용호동 구석기유적의 격지 연구’ 정봉구, ‘대전 용호동 구석기유적의 잔손질된 석기 연구’ 박진우, ‘대전 용호동 구석기유적의 찍개 연구’ 유광현, ‘대전 용호동 구석기유적의 여러면석기 연구’ |
|